직장인테라스

직장생활과 영업, 그리고 사업, 지금까지 실천하며 실패하고 성공했던 모든것을 정리합니다.

직장인테라스 자세히보기

법인을 영업한다./나라의 정책은 믿을만 한가?

🌙 간호사 야간근무, '불면증' 부르는 교대제의 그림자 [시리즈 3]

새벽빛^^ 2025. 6. 28. 11:23
320x100
728x90
SMALL

🌙 간호사 야간근무, '불면증' 부르는 교대제의 그림자 [시리즈 3] 

 

 

안녕하세요?

직장인테라스

새벽빛입니다.

 

 

https://blog6906.tistory.com/137

 

💉 간호사 손목터널증후군, 직업병으로 분류될 수 있을까? [시리즈 2]

💉 간호사 손목터널증후군, 직업병으로 분류될 수 있을까? [시리즈 2] 안녕하세요?직장인테라스새벽빛입니다. https://blog6906.tistory.com/136 🩺 의료계 종사자 직업병, 정부가 마련한 지원제도 총정

blog6906.tistory.com

이어서 포스팅합니다.

 

이대로 계속해도 괜찮을까요?

 

“3교대 6년 차입니다. 퇴근 후 아무리 피곤해도 잠이 오지 않아요. 자는 것보다 깨 있는 시간이 더 많은 것 같아요.”

 

야간근무는 간호사의 일상이자 사명처럼 여겨지지만, 그 이면에는 ‘수면장애’라는 만성 질병이 그림자처럼 따라옵니다.

 


 

간호사/출처:픽사베이

 

 

💤 교대근무가 몸에 미치는 영향

 

간호사는 환자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 밤낮없이 일해야 합니다. 하지만 그 대가로 몸의 생체리듬은 계속 파괴되고 있죠.

 

⏰ ‘수면–각성 주기’가 무너진다.

 

사람의 몸은 낮에는 활동하고, 밤에는 휴식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. 하지만 야간근무는 이 흐름을 거스릅니다.

 

  • 밤에도 강제 각성 → 멜라토닌 분비 저하

 

  • 낮에도 빛·소음 때문에 깊은 수면 불가

 

  • 결과적으로 수면시간은 짧고, 질도 낮음

 


 

 

불면증/출처:픽사베이

 

 

⚠️ 간호사에게 흔한 수면장애 증상

 

다음과 같은 증상이 한 달 이상 지속된다면, 수면장애를 의심해야 합니다.

 

증상 설명

잠들기 어려움 30분 이상 뒤척임 지속
자주 깸 밤중에 2회 이상 각성
피곤한 낮 졸림·집중력 저하·우울감
휴무일에도 뒤바뀐 수면 정상 회복 어려움

 


 

 

간호사/출처:픽사베이

 

 

🧠 단순한 ‘피곤함’이 아니다

 

수면장애는 신체적 고통을 넘어서 정신건강과 직무수행 능력까지 영향을 줍니다.

 

  • 우울증·불안장애 위험 2~3배 증가

 

  • 실수, 투약 오류, 의료사고 가능성 증가

 

  • 자율신경계 이상 → 고혈압, 당뇨, 비만 유발

 

  • 면역력 저하로 감염에 더 취약

 

특히, 20~30대 여성 간호사의 경우 불규칙한 월경, 다낭성 난소증후군 등 생식 건강 문제도 동반되기 쉽습니다.

 


 

 

간호사/출처:픽사베이

 

 

🏥 병원은 알면서도 묵과하고 있다?

 

대부분의 병원은 3교대 또는 2교대 근무 체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 하지만 실제로는 아래와 같은 문제가 존재합니다.

 

  • 인력 부족으로 인해 근무표가 비정상적으로 조밀함

 

  • 퇴근 후 바로 출근하는 변칙 스케줄

 

  • 수면장애 호소해도 정신과 내원 권유 수준에 그침

 

  • 장기근무자일수록 만성 수면장애 확률 ↑

 

그럼에도 의료기관 내부에서는 “다들 겪는 일”, “버티는 수밖에 없다”는 말이 전가의 보도처럼 사용됩니다.

 


 

✅ 제도적 대응과 개인의 대처 전략

 

정부와 일부 병원에서는 의료인의 정신건강과 수면 문제를 인지하고 다양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.

 

1. 직업병 안심센터 활용

 

  • 수면장애도 교대근무로 인한 직업병으로 평가 가능

 

  •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상담 가능

 

  • 고용노동부 협력: 1588-6798

 

2. 교대근무자 수면위생 수칙 (질병청 권고)

 

수칙 설명

근무 전 낮잠 1시간 집중력 향상에 도움
햇빛 차단용 안대, 커튼 사용 낮 수면 질 개선
수면 시간 고정 주말에도 기상시간 유지
자기 전 스마트폰 금지 멜라토닌 분비 촉진

 

3. 의료기관 정신건강 지원사업

 

보건복지부와 건강증진개발원이 주관하는 직장인 정신건강 증진 프로그램 참여 병원이 확대되고 있습니다.

 


 

🙋‍♀️ 나만 그런 게 아닙니다.

 

최근 국내 간호사 1,000명을 대상으로 한 한 조사에 따르면, 응답자의 73%가 “수면의 질이 낮다”, 그중 절반은 **“심각한 불면증 증상을 겪고 있다”**고 답했습니다.

 

하지만 실제로 병원 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하거나, 산재신청을 고민하는 경우는 드뭅니다.

 

“피곤한 게 당연하지”라는 분위기. 그러나 그것이 당연한 것이 아님을 아는 순간부터 회복은 시작됩니다.

 


 

✋ 이런 분들, 지금이 바로 조치할 때

 

  • 교대근무 후 피곤한데도 잠이 안 오는 분

 

  • 한 달 넘게 수면시간이 5시간 미만인 분

 

  • 업무 중 실수가 잦아지고 우울감이 느껴지는 분

 

  • 주말에도 잠드는 시간이 제각각인 분

 

📞 직업병 상담: 1588-6798 (직업병 안심센터)


📍 진료 가능과: 직업환경의학과, 정신건강의학과

 


 

📝 마무리

 

간호사라는 이름으로 오늘도 밤을 지새우는 당신, 하지만 건강은 직업보다 먼저입니다. 수면은 단순한 쉼이 아니라
당신의 생존과 회복에 꼭 필요한 의학적 필수조건입니다. 밤낮이 바뀐 세상 속에서도 당신만큼은 온전히 쉴 수 있어야 합니다.

 


 

📎 참고 링크

 

직업병 안심센터 :: KODSC

일을 하는 중에 아프면 혹시 직업병은 아닐까? 전국 직업병 안심센터를 만나보세요.

www.kodsc.org

 

 

질병관리청

질병관리청

www.kdca.go.kr

 


 

본 게시물에 사용된 이미지는  pixabay 무료이미지 사이트에서 일부 활용하여 제작하였으며, 상업적 목적 없이 블로그 콘텐츠용으로만 사용되었습니다.

bon gesimul-e sayongdoen imijineun  pixabay mulyoimiji saiteueseo ilbu hwal-yonghayeo jejaghayeoss-eumyeo, sang-eobjeog mogjeog eobs-i beullogeu kontencheuyong-euloman sayongdoeeossseubnida.

 

 

새벽빛^^*

320x100
728x90
SMALL